본문 바로가기
HTML

32일차//[css] css 기초 inline 방식

by aesup 2021. 2. 25.
728x90

CSS는 Cascading Style Sheets의 약자이다.

CSS는 HTML 요소들이 각종 미디어에서 어떻게 보이는가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스타일 시트 언어이다.

HTML4 부터는 이러한 모든 서식 설정을 HTML 문서로부터 따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.

오늘날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들은 모두 CSS를 지원된다.


CSS를 사용하는 이유

HTML만으로 웹 페이지를 제작할 경우 HTML 요소의 세부 스타일을 일일이 따로 지정해 줘야한다.

이 작업은 매우 많은 시간이 걸리며, 완성한 후에도 스타일의 변경 및 유지 보수가 매우 힘들어진다.

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W3C(World Wide Web Consortium)에서

만든 스타일 시트 언어가 바로 CSS이다.

 

CSS는 웹 페이지의 스타일을 별도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게 해주므로 사이트의 전체 스타일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.

또한, 웹 사이트의 스타일을 일관성 있게 유지할 수 있게 해주며, 그에 따른 유지 보수 또한 쉬워진다.

이러한 외부 스타일 시트는 보통 확장자를 .css 파일로 저장합니다.

<!DOCTYPE html>
<html>
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<style type = "text/css">
/* 디자인을 설정한다 style */
p {
	/*  이건 p 태그에 대한 설정*/
	background-color:#0000ff;
}
	/* # == id    . == class */
#p1{
		color: white;

}

.pcls{
	background-color:yellow;
	font-size: 150%
	

}

h3.pcls{
	color: #00ff00;

}

</style>
<!-- internal 방식 -->


</head>




<body>

<!-- 

CSS Cascading style sheet
문자의 컬러, 종류, 형태 지정
배경화면 이미지, 컬러
테두리 넣기
각종 tag에 이미지 형태 라인 형태로 설정
 -->

<p style="font-size: 10pt">p tag font size 10pt</p>
<!-- style="font-size: 10pt"  이게 
	css
	이건 inline방식 태그에 집어넣는다
	피곤한 방식이다 일일히 집어넣어야함 -->

<p id="p1">p tag id p1</p>

<h3 id = "p1">h3 tag id p1</h3>
<!-- css에서만 적용된다 -->

<p class = "pcls">p tag class pcls</p>

<h3 class = "pcls">h3 tag class pcls</h3>

<!-- class는 동일하게 사용가능하다 -->


</body>
</html>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