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python20

[python] 파이썬 설치 경로 찾기 cmd 1. cmd 열기 2. 명령어 입력 python import sys sys.executable 2023. 8. 17.
파이썬 알고리즘 강의/ 기초 문법 10: lamda 함수 🎈map 함수의 사용법 map(function, iterable) map 함수의 모양은 위와 같습니다. 첫 번째 매개변수로는 함수가 오고 두 번째 매개변수로는 반복 가능한 자료형(리스트, 튜플 등)이 옵니다. map 함수의 반환 값은 map객체 이기 때문에 해당 자료형을 list 혹은 tuple로 형 변환시켜주어야 합니다. 함수의 동작은 두 번째 인자로 들어온 반복 가능한 자료형 (리스트나 튜플)을 첫 번째 인자로 들어온 함수에 하나씩 집어넣어서 함수를 수행하는 함수입니다. map(적용시킬 함수, 적용할 값들) 이런 식인 거죠. 예를 들어 첫 번째 인자가 값에 +1을 더해주는 함수라고 하고 두번째 인자에 [1, 2, 3, 4, 5] 라는 리스트를 집어넣으면 함수의 모양은 아래와 같고 map( 값에 +1 .. 2021. 9. 26.
파이썬 알고리즘 강의/파이썬 기초 문법 9_함수 ✨파이썬 함수 구조 def 함수명(매개변수): ... ✨파이썬 함수 예시 ''' 함수만들기 함수 호출시 에디터 제일 위에 선언해놔야 찾을 수 있다 ''' def add(a, b): c=a+b print(c) add(3,2) add(5,7) def add2(a, b): c=a+b return c print(add2(3, 2)) def add3(a, b): c=a+b d=a-b return c, d # 여러개의 값 리턴 가능 print(add3(3,2)) # 튜플 자료형으로 출력 a=[12,13,7,9,19] #a 중 소수를 구하는 함수 def isPrime(x): for i in range(2, x): if x%i ==0: return False return True # 13 을 넣었을때 range함수로 .. 2021. 9. 26.
파이썬 알고리즘 강의/파이썬 기초 문법 9_2차원 리스트 생성과 접근 ''' 2차원 리스트 생성과 접근 ''' #1차원 리스트 a=[0]*10 print(a) ''' [0, 0, 0, 0, 0, 0, 0, 0, 0, 0] ''' #2차원 리스트 a=[[0]*3 for _ in range(3)] # _ : 변수없을 때 선언 print(a) ''' [[0, 0, 0], [0, 0, 0], [0, 0, 0]] ''' #행렬의 개념으로 생각하면 쉽다 a[0][1] = 1 print(a) ''' [[0, 1, 0], [0, 0, 0], [0, 0, 0]] ''' a[1][1] = 2 print(a) ''' [[0, 1, 0], [0, 2, 0], [0, 0, 0]] ''' for x in a: print(x) ''' [0, 1, 0] [0, 2, 0] [0, 0, 0] ''' fo.. 2021. 9. 26.
파이썬 알고리즘 강의/파이썬 기초 문법 8_리스트와 내장함수(2) 튜플 🧶리스트 슬라이싱하기 a=[23,12,36,53,19] print(a[3:]) #[53,19] print(a[:3]) #[23,12,36] print(a[1:4]) #[12,36,53] print(len(a)) # 리스트의 값이 몇개냐 5 🧶del 함수 사용해 리스트 요소 삭제하기 >>> a = [1, 2, 3] >>> del a[1] >>> a [1, 3] del a[x]는 x번째 요솟값을 삭제한다. 여기에서는 a 리스트에서 a[1]을 삭제하는 방법을 보여준다. del 함수는 파이썬이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삭제 함수이며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. del 객체 ※ 객체란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모든 자료형을 말한다. 다음처럼 슬라이싱 기법을 사용하여 리스트의 요소 여러 개를 한꺼번에 삭제할 수도 있다. >>>.. 2021. 9. 26.
파이썬 알고리즘 강의/파이썬 기초 문법 7_리스트와 내장함수(1) 🧶리스트 List 리스트를 만들 때는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대괄호([ ])로 감싸 주고 각 요솟값은 쉼표(,)로 구분해 준다. 리스트명 = [요소1, 요소2, 요소3, ...] # 빈 리스트 a= [] # 빈 리스트 b= list() a=[1,2,3,4,5] print(a) print(a[0]) 🧶리스트 list(range(a , b)) b=list(range(1,11)) print(b) # 두 리스트끼리 더할 수 있다. c = a + b print(c) 🧶append( ) 리스트 안 제일 마지막 데이터 자리 뒤에 데이터 추가 a.append(6) print(a) # [1,2,3,4,5,6] 🧶insert( ) 특정 index에 값을 넣을 수 있다 a.insert(3,7) # 3번 index에 7넣기 .. 2021. 9. 26.
파이썬 알고리즘 강의/파이썬 기초 문법 6_문자열과 내장함수 🧶 문자열 모두 대문자로 전환 upper( ) msg = "It is Time" print(msg.upper()) => IT IS TIME 🧶 문자열 모두 소문자로 전환 lower( ) print(msg.lower()) => it is time 🧶 해당 문자에 대한 index 찾기 find( ) 제일 먼저 찾은 인덱스를 출력 tmp = msg.upper() print(tmp.find('T')) => 1 🧶 해당 값이 몇개가 있는지 출력 count( ) print(tmp.count('T')) => 2 🧶 : A 해당 문자열에 범위를 주어 출력 0 ~ A 번 전까지 출력 print(msg[:2]) # 0~1 인덱스까지 출력 print(msg[3:5]) # 3~4 인덱스까지 출력 🧶 문자열의 길이 len pr.. 2021. 9. 25.
파이썬 알고리즘 강의/파이썬 기초 문법 4_반복문을 이용한 문제 풀이 ''' 반복문을 이용한 문제풀이 1) 1부터 N까지 홀수출력하기 2) 1부터 N까지의 합 구하기 3) N의 약수 출력하기 ''' #0 #1부터 입력받은 값까지 출력 #input 을 받아 계산을 할때는 자료형 꼭 변환!!! n = int(input("0번문제 / N을입력하세요:")) for i in range(1 , n + 1): print(i) #1 #1부터 N까지 홀수출력하기 n = int(input("1번문제 / N을입력하세요:")) for i in range(1 , n + 1): if i%2 != 0: print(i) #2 #1부터 N까지의 합 구하기 n = int(input("2번문제 / N을입력하세요:")) sum = 0 for i in range(1, n + 1): sum += i print(.. 2021. 9. 21.
파이썬 알고리즘 강의/파이썬 기초 문법 3_반복문(for, while, break, continue) 🧶range( ) 순차적으로 정수 리스트를 만드는 함수 ''' 반복문 for while ''' a=range(10) # range : 0~9 까지 정수리스트를 만든다 print(list(a)) #[0, 1, 2, 3, 4, 5, 6, 7, 8, 9] a=range(1, 11) # range : 1~10 까지 정수리스트를 만든다 print(list(a)) #[1, 2, 3, 4, 5, 6, 7, 8, 9, 10] 🧶for range( ) for i in range(10): print(i) for i in range(1 , 11): print(i) # 1씩 작아지고 싶다면 인자를 하나 더 둬야한다. for i in range(10 , 0, -1): print(i) #=> 10 9 8 7 6 5 4 3 2 1.. 2021. 9. 21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