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정보처리기사

4장//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

by aesup 2021. 8. 13.
728x90

✔애플리케이션 테스트

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개념

-애플리케이션에 잠재된 결함을 찾아내는 과정

-확인. Validation :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지 사용자의 입장에서 확인

-검증. Verification :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명세서에 맞게 만들었는지 개발자의 입장에서 점검

 

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필요성

-미리 오류를 발견하고 새로운 오류의 유입 예방

-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만족하는지 테스트해 제품의 신뢰도 향상

 

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기본원리

-잠재적인 결함을 줄일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자체 결함이 없다곤 할 수 없음

-결함은 특정 모듈에 집중되어 있어 애플리케이션의 20 %에 해당하는 코드에서 80%의 결함이 발견된다고 하여

파레토 법칙을 적용하기도함

 

✔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분류

프로그램 실행 여부

-정적 테스트

->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소스코드나 명세서를 분석하여 테스트

-> 개발 초기에 결함을 발견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

->워크 스루, 인스펙션, 코드 검사

 

-동적 테스트

->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테스트

->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진행

-> 블랙박스 테스트, 화이트 박스 테스트

 

테스트 기반

-명세 기반 테스트

->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테스트 케이스로 만들어 구현하고 잇는지 확인하여 테스트

-> 동등 분할, 경계값 분석

 

-구조 기반 테스트

->소프트웨어 내부 논리 흐름에 따라 테스트 케이스를 만들어 테스트

->구문 기반, 결정 기반, 조건 기반

 

-경험 기반 테스트

->테스터의 경험을 기반으로 테스트

->요구사항에 대한 명세가 부족하거나 시간의 제약이 있을경우

->에러추정, 체크 리스트, 탐색적 테스팅

 

-목적에 따른 테스트

- 회복 테스트 : 결함을 주고 잘 복구되는지 테스트

- 안전 테스트 : 시스템 보호 도구가 볼법적인 침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지 테스트

- 강도 테스트 : 과부하 시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테스트

- 성능 테스트 : 응답 시간, 처리량 등을 테스트

- 구조 테스트 : 내부의 논리적인 경로, 소스 코드 복잡도 등을 평가

- 회귀 테스트 : 변경 혹은 수정에 따른 새로운 결함이 없는지를 테스트

- 병행 테스트 : 기존의 소프트웨어와 변경된 소프트웨어에 동일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결과를 비교하는 테스트

 

 

✔동적 테스트

화이트박스 테스트

-모듈의 원시 코드를 오픈하여 논리적인 모든 경로를 한번 이상 실행하면서 테스트하여 케이스를 설계

-테스트 과정의 초기에 진행

-설계된 절차에 초점을 둔 구조적 테스트(경로 관찰)

-모듈 안의 동작을 직접 관찰

 

화이트 박스 테스트의 종류

-기초 경로 검사

->테스트 케이스 설계자가 절차적 설계의 논리적 복잡성을 측정할 수 있게 해주는 테스트 기법

->테스트 측정 결과를 통해 실행 경로의 기초를 정의

-제거 구조 검사

->조건검사: 프로그램 내의 논리적 조건을 테스트

->루프검사: 프로그램 내의 반복 구조에 초점을 맞춰 테스트

->데이터흐름 검사: 프로그램 내의 변수의 정의와 사용의 위치에 초점을 맞춰 테스트

 

화이트박스 테스트 검증 기준

- 문장 검증 기준 : 모든 구문이 한 번 이상 수행되도록 설계

- 분기 검증 기준 : 모든 조건문이 한 번 이상 수행되도록 설계

- 조건 검증 기준 : 모든 조건문에 대해 참/거짓인 경우가 한번 이상 수행되도록 설계

- 분기/조건 기준 : 모든 조건문과 조건문에 포함된 개별 조건식의 결과가 참/거짓인 경우가 한번 이상 수행되도록 설계

 

블랙박스 테스트

- 소프트웨어가 수행할 특정 기능을 알기 위해 기능이 완전히 작동되는 것을 입증하는 기능 테스트

- 테스트 과정의 후반부에 진행

- 사용자의 요구사항 명세를 보면서 구현된 기능을 테스트

-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에서 실시

 

블랙박스 테스트의 종류

- 동치(동등) 분할 검사 : 입력 자료에 초점을 맞춰 테스트 케이스를 만들고 검사

- 경계값 분석 : 입력 조건의 경계값을 테스트 케이스로 선정하여 검사

- 원인-효과 그래프 검사 : 입력 데이터 간의 관계과 출력의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분석 후 효용성이 높은 테스트 케이스를 선정하여 검사

- 오류 예측 검사 : 과거 경험이나 확인자의 감각으로 테스트

- 비교 검사 : 여러 프로그램에 동일한 테스트 자료를 제공하여 동일한 출력이 나오는지 확인하는 검사

 

728x90